Surprise Me!

[취재앤팩트] 연말 모임 어쩌나...30개월째 평균 웃도는 외식 물가 상승률 / YTN

2023-12-06 9 Dailymotion

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.3%로 한 달 전보다 0.5%포인트 내리며 둔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소비자들은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데 과일과 가공식품, 외식물가 상승 폭이 오히려 더 커진 탓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이승은 기자! <br /> <br />요즘엔 정말 점심 한 끼 먹는 것도 부담스럽습니다. <br /> <br />외식 물가, 가공식품 상승률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.3%인데요, 이 가운데 외식은 4.8%, 가공식품은 5.1%로 총지수 상승률을 웃돌았습니다. <br /> <br />외식 물가 상승률은 30개월 연속, 가공식품은 24개월째 웃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금이 21.3%로 가장 높았고 참기름, 설탕 등 양념류가 20% 안팎으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파스타면, 당면도 19% 안팎으로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우유와 아이스크림 값도 15%대 뛰었는데, 14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4.8%였습니다. <br /> <br />햄버거가 17% 가까이 올라 가장 높고, 피자도 10%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빔밥, 김밥, 도시락 등 대표적 점심 메뉴도 7% 안팎으로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송년회가 많이 열리는 연말 시즌인데, 물가 부담에 소비 위축까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예전에 자주 먹던 사과도 반쪽씩 아껴 먹습니다. <br /> <br />대신 감이나 귤을 사려고 해도 값이 만만치 않더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전체 농산물 물가는 2년 6개월 만의 최고 상승폭인 13.6% 오르며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55.5% 오른 사과를 비롯해 신선과일지수가 24.6%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도 대체 품목인 토마토, 감귤, 딸기 값이 강세이고, 최근 기온 하강과 일조량 부족 등으로 일부 시설채소 가격도 강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축산물은 1.3% 하락했는데요,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여부가 닭고기와 달걀값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농산물값이 원래 변동성이 크긴 하지만 최근 상승세, 왜 이런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상기후 요인으로 농산물 작황이 부진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여기에 우리나라만의 특이 사항도 지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밀크플레이션'을 부르고 있는 원유 가격 연동제인데요. <br /> <br />우유 가격을 생산비용을 반영해서 매년 올리는 제도입니다. <br /> <br />낙농가 보호를 위해 도입된 건데, 재검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석병훈 /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(YTN 굿모닝경제 출연) : 원유가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0613183694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